활동성 증가, 과잉행동, 불안, 반복적 행동을 보이는 Fmr1-KO 마우스의 주요 표현형 특성을 평가한 후(행동 뉴스레터), 이제 어린 Fmr1-KO 마우스의 뇌 병리학적 특징을 평가했습니다.
Fmr1-KO 마우스에서 엑손 5의 Fmr1 유전자는 네오마이신 내성 카세트로 200개 이상의 CGG 반복으로 대체됩니다.
따라서 동물은 가장 흔하게 유전되는 지적 장애의 형태이자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단일 원인인 취약성 X 증후군을 모델링하는 데 유용한 유전적 도구를 제공합니다.
Fmr1-KO 마우스에서 질병 관련 행동 변화를 확인한 후, 이제 질병별 바이오마커에 분석의 초점을 맞춰 세로토닌 신호 전달 경로의 마커인 세로토닌 수송 단백질(5-HTT), 신경세포의 마커인 파발부민(PV), 미세아교세포의 마커인 Iba1, 성상세포의 마커인 GFAP의 수준을 다양한 뇌 영역에 대해 평가했습니다.
연구 결과, 7주령이 되었을 때 5-HTT 수치는 C57Bl/6J 마우스에 비해 Fmr1-KO 마우스의 꼬리배엽에서 크게 증가한 반면 피질과 해마에서는 변화가 없었습니다(그림 1B)(그림 1A, C).
같은 연령의 Fmr1-KO 마우스의 PV 수준을 평가한 결과, 피질의 수준이 크게 증가한 반면(그림 1E), 꼬리배상과 해마의 수준은 변하지 않았습니다(그림 1F, G).
해마에서의 5-HTT 라벨링과 피질에서의 PV 라벨링의 대표 이미지가 그림 1D와 H에 나와 있습니다. 그림 1: 생후 7주 된 Fmr1-KO 및 C57BL/6J 마우스의 세로토닌 수송체 단백질(5-HTT) 및 PV의 정량화.
피질의 5-HTT 발현 수준(A-C) 및 파발부민(E-G)(A,
E), 꼬리배엽(B,
F) 및 해마(C,
G)의 면역 반응(IR) 면적을 백분율로 평가한 값입니다.
C57BL/6J 및 Fmr1-KO 뇌 섹션의 해마(빨간색, D) 또는 피질(녹색, H)에서의 5-HTT(파란색), DAPI(파란색), PV(녹색)의 대표 이미지.
짝을 이루지 않은 t-검정.
그룹당 n = 5.
평균 + SEM.
*p<0.05.
CX, 피질; HC, 해마; PV, 파발부민.
Fmr1-KO 마우스에서 Iba1 면역 반응성을 정량화 한 결과 꼬리 돌기 (그림 2B)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수준을 보였지만 피질과 해마 (그림 2A, C)에서는 그렇지 않았으며 이는 꼬리 돌기에서 신경 염증의 마커로서 활성화 된 미세 아교 세포가 심각하게 증가했음을 나타냅니다. Fmr1-KO 마우스의 GFAP 면역 반응성을 분석한 결과 피질과 꼬리겉질에는 변화가 없었지만(그림 2E, F) 해마에서는 GFAP 수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그림 2G).
그림 2D와 H에는 꼬리배엽의 Iba1 표지 및 해마의 GFAP 표지의 대표 이미지가 나와 있습니다. 그림 2: 생후 7주 된 Fmr1-KO 및 C57BL/6J 마우스에서 Iba1 및 GFAP의 정량화.
피질 (A. C) 및 GFAP (E-G)의 Iba1 (A,
E), 꼬리배엽(B,
F) 및 해마(C,
G) 면역 반응(IR) 영역으로 백분율로 평가한 수치입니다.
C57BL/6J 및 Fmr1-KO 뇌 절편에서 꼬리겉질에서 NeuN(파란색) 및 Iba1(녹색, D), 해마에서 DAPI(파란색) 및 GFAP(녹색, H)의 대표 이미지.
짝을 이루지 않은 t-검정.
그룹당 n= 5.
평균 + SEM.
**p<0.01; ***p<0.001.
CPu; 꼬리 미상; HC, 해마.
요약하면, 이 데이터는 Fmr1-KO 마우스가 세로토닌 신호와 신경세포 네트워크가 교란되고 신경염증성 병리가 뚜렷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흥미롭게도 관찰된 모든 병리 현상은 지역적으로 매우 특이적이어서 이 마우스는 새로운 ASD 화합물의 효능을 분석하는 데 이상적인 모델입니다. 지금 바로 연락하여 Fmr1-KO 마우스 연구를 시작하세요!
과학 뉴스
Hypothermia – Effective In Vivo Modelling of Tau Phosphorylation
November 28, 2024
Gene Therapy Approaches
October 31, 2024
Longitudinal NF-L Measurements in In Vivo CSF Samples
September 24, 2024
블로그
모든 만성 질환에는 공통점이 있나요?
January 22, 2025
타우 단백질이 어떻게 독성으로 변하는지를 탐구하는 AD 연구
January 15, 2025
파킨슨병 치매 치료의 열쇠가 될 수 있는 PNA5 단백질
January 8, 2025
폭음은 청소년의 두뇌 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December 18, 2024
회사 뉴스
ACT 2024: Scantox 의 확장된 독성학 서비스로 앞서 나가기
November 4, 2024
Scantox, ESGCT 2024에서 세포 및 유전자 치료 역량 소개
September 29, 2024
유전자 독성학 분야의 세계적 선도기업인 젠트로닉스(Gentronix)를 인수한 Scantox Group
September 9, 2024
덴마크 어워드 후보
September 6, 2024